1. 지상파 3사도 ‘포스트TV’ 뛰어들어
- 아예 집에 TV가 없는 제로TV 가구, TV라는 플랫폼에 충성도가 없는 이용자 증가.
- 1인 방송과 이들을 지원하는 MCN(Multi Channel Network) 사업 모델은 지난해에 이어 여전히 각광받을 것으로 주목.
- 올해는 이런 ‘포스트TV’ 흐름에 대한 지상파의 적극 대응 예상. 각 사별로 전담조직을 꾸림
- MBC: “모바일에 최적화된 스낵 콘텐트 실험 조직”인 SMC(Smart Media Contents)를 설립
- SBS: 곧 SBS스튜디오를 출범. “전통적인 TV 시청자가 아니라 젊은 밀레니얼 세대(이용자)를 찾아가는”(김혁 SBS 플랫폼사업팀장) 프로젝트.
2. 대형수족관 간 듯 VR체험 앱 공개
- 15년11월 뉴욕타임스는 VR앱을 출시하며 신문 독자에게 구글 카드보드를 무료로 배포했음. 올해는 VR 대중화 원년으로 점쳐짐
- 문제는 “새 기술을 이용한 콘텐트가 얼마나 이용자 만족도를 주느냐”(김경달 네오터치포인트 대표).
- MBC는 VR로 수족관 내부를 체험케 하는 ‘VR여행-블루월드’를 VR앱과 유튜브 등을 통해 공개
- 1인 방송도 VR 트렌드에 가세. 대표적인 MCN 업체 트레져헌터는 뷰티·여행·게임 등 VR
1인 방송을 선보일 예정. 체험형 콘텐트의 시대가 열릴지 주목.
3. 글로벌 동영상업체 넷플릭스 상륙
- 국내에 진출한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OTT) 넷플릭스. 넷플릭스가 국내 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란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예상
- “기존 유료방송 요금이 미국에 비해 낮은 데다 OTT 서비스에 대한 국내 이용자 지불 의사가 그리 높지 않은”것으로 조사됨.
- 특히 드라마·영화 등 국내의 최신 콘텐트 확보가 관건일 것
- 그러나 “OTT 서비스에 대중적 관심이 높아지는”(임성희 박사) 계기가 될 수도 있음.
- 이러한 동영상 플랫폼을 통해 “국내 시장이 곧 글로벌 경쟁 시장이 되는”(황용석 교수) 새로운 상황도 펼쳐질 수 있음
4. SKT의 CJ헬로비전 인수합병 파장은
- 미래부·공정위·방통위 심사에서 승인을 받을 경우 IPTV·케이블 방송사(SO)를 아우르는 대형 플랫폼 사업자가 탄생
- 방송 영역에서 통신사업자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것과 함께 케이블 사업자의 위상 변화 등 크고 작은 연쇄반응이 예상됨
5. 언론사 모바일뉴스 실험 가속화
- 페이스북의 ‘인스턴트 아티클스’ 같은 새로운 뉴스 플랫폼이 각광받는 가운데 언론사의 모바일 최적화 뉴스 실험도 가속화될 것으로 보임
- “언론사는 위기이지만 뉴스는 위기가 아니다”(장윤재 교수)라는 지적처럼 모바일에서 뉴스 콘텐트의 영향력은 오히려 커질 것으로 전망됨
- “추천을 통한 큐레이션 등 개인화된 뉴스 소비 전략, 모바일 온리·온라인 퍼스트·페이퍼 퍼스트 등 세분화된 이용자 전략을 구사해야 할 것(정재민 교수)
- 주류 미디어의 이용자 데이터 분석은
아직 부족하다는 비판이 있음있다. 뉴스를 통한 빅데이터 저널리즘도 더욱 정교해질 것
6. 트래픽보다 콘텐트 영향력 주목
- 조회수나 ‘좋아요’에 과도한 무게를 싣는 건 “그것을 시청률이나 판매부수의 연장으로 보기 때문”(강정수 소장)인 것.
- 체류 시간, 본문을 읽는 정도(스크롤뎁스) 등 콘텐트를 평가하는 다양한 지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단순 트래픽 확보 < 미디어나 콘텐트의 영향력이 더 중요)
7. 페이스북·트위터로 쇼핑도
- 콘텐트 안에 광고가 들어오는 ‘PPL(간접광고)’이나 ‘네이티브 애드’를 지나 올해는 콘텐트 이용과 상품 구매를 연계하려는 시도가 더욱 활발해질 전망
- 콘텐트 커머스 활성화를 기대하는 시각도 있음. 네이버페이 같은 소액결제시스템 확산이 “디지털 콘텐트 이용자에게 적절한 유료 소비습관을 만들어 주는”(황용석 교수) 계기가 될 수도 있다는 것.
[출처: 중앙일보] 뉴스도 현장 간 듯 생생하게 ‘가상현실’대중화 원년 될까
2016.01.12 02:28 http://news.joins.com/article/19395398
이후남 기자 hoonam@joongang.co.kr
'취프로 징비록 > 신문읽어주는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한국 신성장 동력 - 자율주행차 (0) | 2016.01.13 |
---|---|
[스타트업] 교통/물류 관련 (0) | 2016.01.13 |
[IT] 카카오의 로엔 인수 관련 소식 정리 (0) | 2016.01.12 |
[유통업] 호텔 예약, 알뜰폰 … 쫓기는 마트들 새 영토 개척 (0) | 2016.01.11 |
[산업] 한국 신성장 동력 10 - <1> 로봇 산업 (0) | 2016.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