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프로 징비록/취준학개론

(14)
자소서 쓸 때 고민했던 HR역량들 HR 관련 [my 역량 브레인스토밍] 1. 기획력 (인싸 커리큘럼 기획 경험) 2. 균형감각 *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것, 내가 틀릴 수도 있따는 것을 인정하는 것.* 필드팀 사례. → 그 조직 내 원칙을 찾아가는 과정을 배움3. 역지사지 태도* 상대방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4. 소속감/충성도5. 데이터 다룬 경험* GA, 엑셀 [HR관련 경험]1. 커나가는 조직에서의 생활 경험이 많다2. 여울, 체계적인 교육을 바은 경험3. 인싸에서 교육체계 만들어본 경험4. 로컴, 서포터즈 평가/보상전략 수립 [HR에 대한 생각들]1. 조직을 움직이는 원칙을 만들고 그 원칙을 적용하는 일.
나만의 판단기준 먼저 취뽀했던 친구가 해줬던 조언인데, 기업 선택 시 고려할 요소들을 잘 생각하고 그것들의 우선순위를 매기는 일이 중요하다고 말 해주었었다.그래서 나도 방학 때 내게 있어 중요 기준들은 무엇인지 중요하게 생각해보았던 것 같다. 1. 관심있는 산업이냐2. 여자가 너무 적은 회사인가3. TO가 너무 적은 직무인가4. 인적성 비중이 낮거나, 안보는 곳인가5. 문과를 선호하는 산업군인가6. 떨어진 전력이 있는 회사인가7. 서울 근무가 가능한 곳인가8. 이직할 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회사인가9. 가고 싶은 곳 vs 뽑힐 가능성이 높은 곳10. 탑티어인가 실제로 이것들에 우선순위를 매기는 일까지는 못했다. 그러나 내가 어떤 기준들을 가지고 있는지는 알았기 때문에. 나름 자소서가 여러개 뜰 때 어떤 기업부터 버..
[취업의 정답] 자기분석 해보깅 "사람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와 관련해 생각나는 것들 쭉 적어보았던 것들~ -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어야 한다. * why? 1) 나는 사회 속에서 수많은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살아가니까. 2) 나도 많은 도움을 받으며 자라왔으니까. - 독립할 수 있어야 한다. * why? 1) 언제까지 부모님께 용돈 받으며 살 수는 없으니까. 2) 필요한 순간에 돈이 없어 뭔가를 못 해서는 안되니까. - 자기 길을 스스로 개척해야 한다. * why? 1) 누군가의 도움을 받으며 사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니까. 2) 스스로 고민하고 선택해야 인생의 과제들을 잘 넘길 수 있으니까. - 늘 목표가 있어야 한다. * why? 그래야 뭔가를 할 때 지속적으로 할 수 있고, 쉽게 포기하지 않으니까. - 뭔가를 할 때는 이유가..
액션 플랜을 위한 그간의 문제 분석 [15년의 교훈점] - 3월/4월에는 지치지 않고 계속 써야함 - 5월은 면접+서류 겹치므로 시간 관리 중요, 방학 때 '나'에 대한 스토리를 정렬을 잘 해놓음으로써 면접 준비를 효율적으로 할 것→ 방학 때 나의 selling point에 대해 충분히 고민하고, 상대가 원하는 selling point와 나의 selling point를 분석할 것. - 정말 가고 싶은 A group을 미리 만들어놓고, 이에 대해서는 미리 준비. plan B가 되는 기업들도 미리 생각해놓을 것.→ plan C는 나머지 뜨는 기업들, 이 기업들은 무차별적으로 난사. - A group: sk, 삼성, 현차, CJ E&M- B group: kt/bc카드, LG, 한화, 은행/보험
자기소개서 특강2 2016.03.07 자기소개서 특강 Q. 인사담당자들이 어떤 인재상을 원할까?- 우리가 3개월짜리 팀 프로젝트 할 때 같이 하고 싶은 1학년의 모습을 생각해봐라.- 신입 vs 경력 경력하고는 요구하는 것이 다르다. 우리가 팀플 하고 싶은 1학년과 4학년을 떠올릴 때 다른 것처럼! 신입사원은 신입사원다운 맛이 나와야 한다. * Tip 자소서에 ‘열정’이라는 표현 쓰지 마라.Ex. 열정있는 애 vs 그 프로젝트에 간절한 애.→ 간절함이라는 워딩이 더 이해 잘 된다. 추상적/어려운 말 쓰지 마라.Ex. 그 일을 마무리 지으려고 끝까지 물고 늘어지는 사람입니다 vs 열정있는 사람입니다.→ 전자가 더 와 닿음 Q. 우리가 팀플 하고 싶은 1학년한테 원하는 모습은?- 말귀 잘 알아듣는 애- 밝은 애들- 적극적이고 ..
자소서 특강, 중요 포인트! 2016.03.03 자소서 특강 @ 채용에 대해 알아야 할 것 - 최근 채용철학: The survival of the fittest = 최고의 인재(x), 최적의 인재(right person) → 그 직무에 가장 적합한 사람인가? 오랫동안 근속 연수 지킬 사람인가?- 자소서 작성에서 가장 중요한 것: 지피지기 = 나를 아는 것보다 상대를 아는 것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업종/직무의 트렌드를 알고 써라. 직무와 산업에 대한 이해, 정보 없으면 쓸 수 없다. 자소서는 정보의 싸움이다. 깊이가 중요! 그러므로 얼마나 리서치를 했냐 → 로열티 확인 → 직무 적합도 확인- 자기소개서는 상대가 듣고 싶은 말을 하는 곳이다.정보력이 가장 중요하다. 자소서를 잘 쓰려면 상대가 듣고싶어 하는 얘기를 최대한 해라. 관심있..
자기소개서 관련 팁 2 1. 소재의 구체성 [SAR (상황 - 행동 - 결과) 중심으로 써야한다는 가이드는 가장 기본] [강점이 A라고 했다면, A가 무엇인지 드러낼 수 있는 경험이 글의 소재가 되어야 한다] - A를 잘 한다고만 나열하는 것이 X, 실제로 그걸 잘 했던, 또는 A를 잘 할 것 같다고 읽는 사람이 느낄 수 있도록 작성해주어야 한다 "본인이 사출에 대해 잘 안다고 했는데 어떤 경험이나 과거 공부를 통해서 그런 지식/ 경험을 쌓았는지 설명이 필요합니다. 지금은 그냥 단순히 경험이 많다고만 되어 있어서 신뢰하기가 어렵습니다. "어머니와 학생들에게 단순히 "무료 공부상담"을 약속 한 후 과외를 얻을 수 있었다 정도로는 드러내고자 하는 역량이 설득이 잘 되지 않습니다. 이 부분이 글에서 제일 중요한 부분이므로 어떤 방식..
SKT 상품기획 직접 부딪혀보면서 진정한 자신을 발견하고 하고 싶은 것을 알 수 있다. SKT 상품기획 관련 자료. 출처: http://kr.designmarketinglab.com/archives/362written by: 문성준(goodgoodhage@gmail.com)[특강] 상품 기획은 어떻게 하나요?You are here:Home수업/특강이번 강의는 예전에 삼성전자 북미 TV Product Manager 로 일하신 후, 현재 SK텔레콤에서 상품기획 PM으로 일하고 계시는 윤영란 매니저님께서 강연해 주셨습니다. PM은 무슨 일을 하는지, PM이 되기 위해 무엇을 준비하면 좋은지, 그리고 최근 런칭하셨던 TV 셋탑박스인 B-Box를 통해 상품 기획 과정에 대해 말씀해 주셨습니다.상품기획자는 무슨 일을 하나요?상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