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택시]
1. 카카오 택시의 성공적인 결과
- 전국 택시기사의 85% 이상인 21만 명이 가입, 누적 호출 수는 8000만 건이 넘음
- 소비자뿐 아니라 종사자의 품격을 중시하면 플랫폼이 성장할 수 있다는 카카오의 철학이 통한 것.
2. 카카오 택시 서비스 소개
- 택시기사와 승객을 모바일에서 연결하는 것
3. 성공 요인
[Key point: 택시기사들에게 집중해 공급자의 선택을 이끌어낸 것]
- 공급자에 집중함. 카카오는 기사와 승객 모두를 ‘이용자’로 봤음.
- 승객 불편을 해결할 기능까지 반영된 카카오택시에 대한 기사와 승객의 반응은 좋았음. 카카오택시기사는 자부심을, 승객은 편리함을 얻은 것
[카카오 택시의 선순환 구조]
택시기사의 만족과 자부심 → 승객에 대한 친절 → 승객도 기사에게 만족 → 플랫폼 이용 확대
4. 카카오의 준비 과정
1) 담당자들이 수시로 택시를 탔음.
- 공급자가 만족할 모바일 택시 호출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현장 취재 결과는 앱에 반영.
1) 출발지와 목적지를 보고 차고지 등 이동경로에 맞춰 영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2) 기사도 승객을 평가할 수 있게 했음.
→ 기사와 승객은 카카오택시 플랫폼에서 동등한 효율을 누림
2) 택시 관련 협회들과 업무 협약해 서비스 정책 만듦
- 서울특별시택시운송사업조합·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전국민주택시노동조합연맹과 업무협약을 체결.
5. 향후 카카오의 O2O서비스 계획
1) 카카오드라이버
- 기사용 앱
- 카카오 택시와 마찬가지로 ‘서비스 종사자가 첫 번째 고객’임을 강조.
[정책]
- 운행수수료를 20%로 통일하고 다른 비용은 청구하지 않는다는 정책을 세움
- 보험료를 카카오가 부담하며 업계 최고 수준의 보상한도를 가진 보험상품을 제공하기로 함
- 예치금제도 같은 기존 관행을 없앴음
[진행과정]
- 카카오는 수도권 5개 대리운전기사단체와의 간담회를 시작으로 시장 관계자들과 카카오드라이버의 정책 및 서비스 구조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있음
2) 카카오헤어샵
- 상반기 정식 서비스를 앞두고 있음. 역시 서비스 종사자의 효율을 추구.
[서비스 방향]
-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고 선결제하는 모바일 플랫폼
- 이를 통해 노쇼(No-Show) 비율을 줄이고 헤어샵은 영업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는 것. 이미 2000개 이상의 헤어샵들이 입점 신청을 했음.
[네이버 쇼핑윈도]
1. 네이버 쇼핑윈도의 성공
- 지난 1월 기준 월 거래액 260억원을 돌파하며 가파르게 성장 중.
- 서울·부산·대구에 이어 김해·순천·울산 등 지방 중소도시 상권에서도 월 거래액 1억원 이상을 기록한 ‘스타셀러’가 배출됨.
- 스타셀러는 전국구로 확대되는 추세. 1월 기준으로 1억원 이상을 기록한 매장은 20개, 월 1000만원 이상을 기록한 매장은 468개.
Ex) 지난 11월 경남 김해의 작은 옷가게인 ‘아이미마인’이 입점 6개월 만에 월 1억원을 돌파
- 아이미마인의 경우 지난해 11월 쇼핑윈도에서만 월 거래액 1억원을 돌파하고 이후 4개월 연속 1억원을 돌파.
2월 거래액은 지난 11월 대비 80% 이상 상승하며 전체 스타일윈도 매장 중 1위를 기록.
Ex) 올해 들어 전남 순천의 ‘TheSSong’, 울산의 ‘쭈블리’ ‘모노드레스’ 등으로 스타셀러가 확대되고 있음
Ex) 지난해 3월 쇼핑윈도에서 처음 월 거래액 1억원을 돌파한 매장인 부산 금정구에 위치한 여성 의류 소호몰 ‘리틀마켓’은 3월 현재 거래액 3억원을 이미 돌파.
* 이들은 대부분 쇼핑윈도에 입점하기 전 불리한 가게 위치와 확대되는 모바일 상권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어 왔지만 쇼핑윈도 입점을 통해 제2의 성장 가도를 달리고 있는 중
2. 네이버 쇼핑윈도 서비스 소개
- 직접 찾아가지 않아도 전국 오프라인 매장의 물품들을 온라인에서 간편하게 둘러보고 구입할 수 있는 쇼핑 O2O 플랫폼.
- 전국 구석구석 골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작은 옷가게·잡화점·공방과 산지 생산자들까지 4000여 개 매장의 60만여 개 상품들을 간편하게 찾아보고 구매할 수 있음
- 쇼핑 O2O(Offline to Online) 서비스를 통해 지방 중소도시 상권이 재발견되고 있음
[기획 의도]
- 온라인에서 쉽게 찾을 수 없던 오프라인 매장들의 상품을 담아 네이버 검색 이용자들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차별화된 O2O 콘셉트로 시작한 서비스
3. 성공 요인
1) 실제 매장에 들린 것 같은 생생한 콘텐트 + 채팅 플랫폼 ‘네이버톡톡’
모바일 쇼핑의 장점을 결합해 O2O 플랫폼을 최대한 활용한 것
2) 네이버의 간편결제 서비스 네이버페이도 쇼핑윈도
*네이버페이: 네이버 ID 하나로 모든 가맹점에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
- 네이버 페이를 통해 소규모 쇼핑몰들에게 간편한 결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회원 가입 프로세스로 인한 고객 유출을 줄여주고 있음
- 현재 쇼핑윈도에 입점한 매장 중 90% 이상이 네이버페이를 활용 중
- 네이버페이는 네이버 브랜드를 통한 신뢰도 확보와 마케팅 효과, 통합 포인트 적립 혜택 등으로 고객 확보 및 실질적인 매출 증대에 도움을 주며 든든한 지원군으로 자리 잡음.
4. 향후 계획
- 스타일윈도도 매장 수를 확대할 예정
전국에 1000여 개의 로드샵을 갖고 있는 ‘스타일윈도’의 경우 올해 매장 수를 2배 이상 확대할 계획. 올해에도 오프라인 매장 사업자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해 전주·광주·인천 등 다양한 지방 상권에서 쇼핑 O2O 성공 사례를 발굴할 것.
[출처: 중앙일보] [it&issue] 전국 4000여 개 매장 한곳에…‘쇼핑윈도‘ 속에 다 있네
'호기심 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DIY 여행을 위한 각종 추천 App (0) | 2016.04.04 |
---|---|
[스타트업] 비트, 라파엘 글러브, 키위워치 (0) | 2016.03.30 |
RSS 리더기 'feedly' 리뷰 (0) | 2016.03.16 |
[서비스] 사진 촬영 예약 플랫폼 '포토베리' (0) | 2016.03.16 |
영화 추천 서비스 '왓챠플레이' 리뷰 (0) | 2016.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