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비트패킹컴퍼니 ‘비트’
무료할 때 듣는 무료음악 비트, 스마트폰 서비스 170억원 투자 유치
(출처: 중앙일보)
1. 세계 광고기반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 현황
- 현재 세계 광고 기반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은 디지털 음악시장의 약 9%를 차지한다. 2014년엔 전년 대비 38.5% 성장하는 등 한참 크고 있는 시장이다.
2. '비트' 서비스 배경
- '음악은 공짜. 대신 광고를 봐야 한다’는 오래된 공식을 스마트폰으로 옮겼다.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사업 모델 같지만 2014년 3월 비트 전엔 유사한 시도는 없었다.
3. '비트' 서비스 현황
- 서비스가 나온 지 23개월, 비트는 3월 현재 가입자 670만명을 돌파했다. 매일 180만 명이 상황별·계절별·가수별로 잘 분류된 서비스를 이용한다.
- 비트의 인기는 가볍게 음악을 즐기고픈 사람이 그만큼 많았다는 얘기도 된다. ‘틈새’라고 본 시장이 가능성이 큰 대중적 시장이었던 셈이다.
4. 사업 현황
- 이런 전망에 힘입어 비트는 그동안 170억원 투자를 유치했다. ‘음원 부자’인 연예기획사가 주목. YG엔터테인먼트, 미스틱엔터테인먼트는 일찌감치 비트패킹컴퍼니의 투자사로 합류했다. 박수만 비트 대표는 "그만큼 모바일 음악 시장의 가능성을 평가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며 “앞으로 인류가 듣게 될 음악은 대부분 스마트폰을 통해 나오는 음악일 것”이라고 말했다.
2. 네오펙트 ‘라파엘 글러브’
게임 손 운동이 재활 운동 네오펙트 의료 솔루션 미국·유럽서도 인증
(출처: 중앙일보)
1. 스마트재활의료기기 ‘라파엘 글러브’가 탄생한 배경
사고 후 재활훈련에선 꾸준함이 중요한데, 시간과 비용, 인내심 부족이 문제다. 집에서도 쓸 수 있는 재활기기, 저렴한 비용으로 지루하지 않게 따라 할 수 있는 훈련 프로그램이 절실.
2. 제품 특징
- 재활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스마트 글러브를 끼고 ‘복어 잡기’ 등 30여 종의 게임을 하면서 손가락과 손목, 팔을 단련할 수 있다. 인공지능(AI)이 환자 수준에 맞는 게임을 제안하고, 의료진은 저장된 훈련 데이터를 보며 처방을 내린다.
- 2014년 12월 출시된 라파엘 글러브는 한국과 미국, 유럽에서 동시에 인증을 받았다. 국내에선 국립재활원과 서울대병원 등 대형병원 10곳에서 사용 중이다. 가격은 해외 유사 제품의 절반 수준인 1000만원.
3. 영업 전략
- 네오펙트는 재활 비용 절감 가능성을 앞세워 미국 대형 병원을 우선 공략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샌프란시스코에 지사를 내고 영업을 시작해 현재는 위스콘신대 병원을 비롯해 7곳에서 라파엘을 사용하고 있다. 올 상반기 중엔 미국에서 100만원 정도인 ‘가정용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 판매를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진출할 예정이다. 반호영 대표는 “올해 미국 병원 100곳 입점과 유럽 판매거점 다양화가 목표”라고 말했다. 상체 재활 훈련용 ‘라파엘 바디’와 발달장애·뇌성마비가 있는 4~13세 어린이를 위한 ‘라파엘 키즈’도 출시도 예정돼 있다.
3. 키위플러스 ‘키위워치’
아이폰 뺨치는 아이들폰 키위플러스 “시장 10%만 잡아도 1000만명”
(출처: 중앙일보)
1. 키위워치 타겟
- 어린이용 스마트폰과 각종 디바이스를 만드는 키위플러스는 ‘5~10세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라는 좁지만 확실한 타깃층을 공략하고 있다. 이 연령대를 위한 ‘애플’이 되겠다는 것이 창업 기획 단계에서부터의 목표였다.
2. 시장성
- 한국엔 잠재 고객이 250만명 남짓이지만 이를 세계로 확대하면 약 1억명에 달한다. 키위플러스는 이중 10%를 잡을 수 있다고 자신한다.
3. 사업 현황
- 스마트폰을 사주기엔 어리지만 부모와 계속 연락해야 하는 연령대의 필요에 맞추기 위해 6개월 간 전국 어린이집을 돌며 조사한 결과를 서비스에 반영하고 있다. 이동통신사 판매망이 아닌 별도의 유통망으로 판매하는데다가 경쟁 업체에 비해 고가(38만원 상당)인데도 반응이 좋은 편이다.
[출처: 중앙일보] 세계로 뻗는 K-벤처 <상> 틈새서 ‘금’ 찾다
'호기심 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DIY 여행을 위한 각종 추천 App (0) | 2016.04.04 |
---|---|
[IT] 카카오택시 / 네이버 쇼핑윈도 (0) | 2016.04.04 |
RSS 리더기 'feedly' 리뷰 (0) | 2016.03.16 |
[서비스] 사진 촬영 예약 플랫폼 '포토베리' (0) | 2016.03.16 |
영화 추천 서비스 '왓챠플레이' 리뷰 (0) | 2016.03.09 |